임신, 육아, 출산 가이드 - 출산(자연분만) 후 주의사항은?
자연분만의 경우
▶출산 당일
출산 후 대량 출혈이나 열상 등이 없다면 바로 병실로 가지 않고 회복실로 옮겨져 자궁수축제를 맞고 2시간 정도 상태를 관찰합니다.
2시간 동안 출혈이나 혈종 등이 나타나지 않고 자궁수축이 양호하면 병실로 옮겨서 휴식을 취합니다.
출산 당일에는 이제부터의 육아를 앞두고 충분한 안정과 숙면을 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회음 절개 부위의 통증이나 훗배앓이가 심하거나 오로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즉시 알려야 합니다.
만약 8시간이 지났는데요 소변을 보지 못하면 간호사에게 알려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소변을 본 후에 반드시 외음부의 앞에서 뒤쪽으로 깨끗이 닦아 세균 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걷은 것은 기분전환도 되고 하지혈전을 막아주므로 금기사항이 아니지만 출산 때의 출혈과 갑자기 변한 몸 안의 상황 때문에 저혈압으로 인한 현기증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갑자기 몸을 움직이거나 혼자 돌아다니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출산 후 3일에서 일주일간은 오로의 양이 많기 때문에 패드를 사용해야 하는데, 패드는 자주 갈아 청결을 유지해야 합니다.
▶2일
아침에 눈을 뜨면 어느 정도 마음의 안정을 찾고 통증도 가벼운 훗배앓이 이외에는 없어지지만, 오로의 양은 전날에 비해 훨씬 많아지며 특히 운동을 시작하면 핏덩어리가 한두 개 빠질 수 있습니다.
혈액이 덩어리째 펑펑 쏟아지지 않는다면 '나쁜 피가 빠지는구나'라는 생각을 하셔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너무 양이 많으면 간호사에게 즉시 알리고 배를 만져서 자궁을 자극하면 도움이 됩니다.
회음 봉합부위의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손상된 질이나 자궁에 세균 감염이 되지 않도록 정해진 시간에 좌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쯤부터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 한에서 관절을 움직이고 운동을 시작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처음에는 걷거나 발목 운동, 팔 벌리기 등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금씩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직 유방이 붓거나 당기지 않더라도 아기에게 젖을 물려봅니다.
병원에 따라서는 퇴원 후부터 수유하게 하는 경우도 있는데, 가능하면 이때부터 젖을 물리는 것이 자궁의 회복도 돕고 젖몸살도 쉽게 풀 수 있으며 이후 모유수유의 성공도에도 영향을 줍니다.
▶3일
산모에게 이상이 없다면 보통 이날 퇴원합니다.
아침 회진 때 담당의사가 산모의 상태를 점검해서 퇴원 결정을 하게 되는데, 몸의 이상이나 궁금한 것이 있다면, 이때 질문하고 아기는 황달이나 골절 등 기본적인 검사를 받고 이상이 없으면 함께 퇴원합니다.
*출처 : 국민건강보험
'건강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출산, 육아 가이드 - 출산과 요실금, 산후합병증 의심증상 (0) | 2020.11.20 |
---|---|
임신, 출산, 육아 가이드 - 소아비만 원인과 예방, 치료는? (0) | 2020.11.19 |
건강상식 - 소아 천식의 진단과 치료 (0) | 2020.11.16 |
임신, 출산, 육아 가이드 - 제왕절개 장단점과 적응증은? (0) | 2020.11.14 |
건강상식 - 의약품이란? (0) | 2020.11.14 |
댓글